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Configmap
- EC2
- 아파트
- 옥수삼성아파트
- React Native
- 답십리 파크자이
- 쿠버네티스
- 황학동롯데캐슬
- 서버간 파일전송
- 9억이하
- 명령어
- 5호선
- describe-instances
- 행당한진아파트
- 천호태영아파트
- 응봉현대아파트
- 미아뉴타운sk북한산아파트
- pod
- k8s
- aws cli
- Ansible
- 행당대림아파트
- 6억이하아파트
- kubectl
- 행당역
- statefulset
- 2025년정책
- 신혼부부아파트
- docker
- ELB
Archives
- Today
- Total
게으름을 위한 부지런한 게으름뱅리' 블로그
[K8S] kubectl 명령어 정리 본문
반응형
♬ Get
# default namespace의 pod조회
$ kubectl get pods
# 모든 namespace의 pod조회
$ kubectl get pods --all-namespaces
# pod 정보 자세히 보기
$ kubectl get pod -o wide
# pod watch mode로 보기
$ kubectl get pod -w
# default namespace의 deployment조회
$ kubectl get deploy
# 모든 namespace의 모든 deployment조회
$ kubectl get deploy --all-namespaces
# default namespace의 service조회
$ kubectl get service
$ kubectl get svc
# 모든 namespace의 모든 service조회
$ kubectl get service --all-namespaces
$ kubectl get svc --all-namespaces
#node 조회
$ kubectl get node
♬ Create
# test.yaml파일 작성 후 create하면 yaml파일의 내용이 생성
$ kubectl create -f test.yaml
# yaml파일의 문법이 맞는지 확인하기
$ kubectl create -f test.yaml --dry-run=client
# 명령어로 create 후 yaml 파일로 만들기
$ kubectl create deploy test-deploy --image=nginx --dry-run=client -o yaml > nginx.yaml
♬ Delete
#test.yaml 파일로 생성된 내용 삭제
$ kubectl delete -f test.yaml
# 모든 자원 삭제
$ kubectl delete all --all
# 원하는 파드만 삭제
$ kubectl get pod
$ kubectl delete {pod이름}
♬ Describe
# node 정보
$ kubectl get nodes
$ kubectl describe nodes {node이름}
# pod 정보
$ kubectl get pods
$ kubectl describe pod {pod이름}
♬ Exec
# Pod에 bash로 들어가기
$ kubectl get pods
$ kubectl exec -it {pod이름} /bin/bash
# 특정 Pod에서 curl 실행하기
$ kubectl get pods
$ kubectl exec {pod이름} -- curl localhost:8080
♬ Log
# 특정 pod의 로그 확인
$ kubectl get pods
$ kubectl logs {pod이름}
# 특정 pod의 로그 tail
$ kubectl get pods
$ kubectl logs -f {pod이름}
반응형
'IT > K8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쿠버네티스 교과서] 파드, 디플로이먼트, 서비스 정리 & 문제 (0) | 2023.12.10 |
---|---|
[K8S] ConfigMap 으로 Volume mount하기 (0) | 2021.11.21 |
[K8S] 애플리케이션 변수 관리 (0) | 2021.11.16 |
[K8S] rook-ceph 활용하기 (0) | 2021.11.14 |
[K8S] Kubernetes Cluster 구성하기 (0) | 2021.11.14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