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2025년정책
- docker
- 행당한진아파트
- 5호선
- 9억이하
- 명령어
- Ansible
- 서버간 파일전송
- 행당대림아파트
- 신혼부부아파트
- aws cli
- 천호태영아파트
- EC2
- Configmap
- kubectl
- 옥수삼성아파트
- React Native
- 행당역
- 6억이하아파트
- 쿠버네티스
- statefulset
- describe-instances
- 답십리 파크자이
- ELB
- 아파트
- 미아뉴타운sk북한산아파트
- k8s
- 응봉현대아파트
- 황학동롯데캐슬
- pod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ClusterIP (1)
게으름을 위한 부지런한 게으름뱅리' 블로그
[K8S] 쿠버네티스 "Service" yaml 예시
쿠버네티스(Kubernetes)에서의 "서비스(Service)"는 여러 개의 파드(Pod)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추상화된 개념입니다.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사용됩니다: 1. 내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: 서비스는 클러스터 내에서 여러 파드에 접근할 수 있는 단일 진입점을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파드의 IP 주소가 변경되어도 서비스의 DNS 이름을 통해 접근할 수 있습니다. 2. 로드 밸런싱: 여러 개의 파드에 대한 트래픽을 분산하여 로드 밸런싱을 수행합니다. 서비스는 트래픽을 수신하고 이를 백엔드 파드 중 하나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. 3. 서비스 발견(Discovery):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이름을 DNS로 해석하여 클러스터 내에 있는 특정 애플리케..
IT/K8S
2024. 7. 3. 23:06